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총정리(2025년 공공임대 주택의 변화)

by 트루스컬러 2025. 4. 19.
반응형

 

 공공임대주택 유형별  

1. 통합공공임대주택

  • 대상: 저소득층부터 중산층 무주택자까지 폭넓게 대상
  • 임대기간: 최대 30년
  • 임대료: 시세의 약 35~90%
  • 특징: 기존 국민임대, 영구임대, 행복주택 등을 하나로 통합한 형태로, 대상 가구의 소득에 따라 유연하게 거주 가능하며, 장기 안정적인 주거 제공

2. 국민임대주택

  • 대상: 무주택 저소득 가구, 중위소득 70% 이하
  • 임대기간: 최대 30년
  • 임대료: 시세의 60~80%
  • 특징: 중저소득층을 위한 대표적 장기임대, 안정적 주거 지원

3. 영구임대주택

  • 대상: 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, 국가유공자 등 취약계층
  • 임대기간: 최대 50년 (무기한 가능)
  • 임대료: 시세의 30%
  • 특징: 최장 50년 거주 가능, 매우 저렴한 임대료로 주거 안정 제공

4. 행복주택

  • 대상: 대학생, 신혼부부, 청년, 고령자 등
  • 임대기간: 6~20년 (계층별 차등)
  • 임대료: 시세의 60~80%
  • 특징: 교통이 편리한 도심 내 신축 주택, 젊은층 및 신혼부부 대상, 단기 또는 중장기 임대

5. 기타 유형

  • 50년 임대주택: 50년간 분양전환 없이 임대
  • 5년/10년 분양전환 임대: 일정 기간 후 우선 분양전환
  • 매입임대: 정부 또는 LH가 기존 주택 매입 후 임대, 대상은 저소득 가구, 기간은 10~20년
  • 기숙사형 청년주택: 대학생 대상, 6년 또는 20년
유형 주요 대상 임대기간 임대료
(시세 대비)
주요 특징 및 비고
통합공공
임대주택
저소득~중산층 무주택자 최대 30년 35~90% 기존 국민임대·영구임대·행복주택 통합, 소득별 유연 적용, 장기 안정 거주
국민
임대주택
무주택 저소득가구
(중위소득 70% 이하)
최대 30년 60~80% 중저소득층 대표 장기임대, 안정적 주거 지원
영구
임대주택
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,
국가유공자 등 취약계층
최대 50년 약 30% 매우 저렴, 최장 50년 거주, 취약계층 주거안정
행복주택 대학생, 신혼부부, 청년, 고령자 등 6~20년 60~80% 도심 신축, 젊은층·신혼부부, 단기~중장기 임대
50년
임대주택
무주택자(중소득층 포함) 50년 60~80% 분양전환 없이 50년 임대, 장기 거주 가능
5년/10년
분양전환 임대
무주택자 5년/10년 후
분양
80~90% 일정 기간 임대 후 우선 분양전환 가능
매입
임대주택
저소득가구, 취약계층 등 10~20년 30~80% 기존 주택 매입 후 임대, 다양한 계층 지원
기숙사형
청년주택
대학생 6년/20년 60~80% 대학생 대상, 도심형 기숙사 주택

 

핵심 포인트

  • 2025년부터 기존의 국민임대, 영구임대, 행복주택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공공임대주택이 새롭게 등장하며, 대상과 기간, 임대료 수준이 다양하게 조정되어 더 많은 무주택자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합니다.
  • 각 유형별 대상과 조건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며, 자격 요건과 임대 기간, 비용 등을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반응형